꿀똥벌레
꿀똥벌레 개발 블로그
꿀똥벌레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0)
    • JAVA (17)
    • SPRING (14)
    • Elasticsearch (4)
    • GRADLE (2)
    • HTML, CSS (0)
    • JAVASCRIPT (0)
    • GIT (1)
    • Vue.js (1)
    • server (1)
    • Python (0)
    • IT리뷰 (0)
    • 인프라 (6)
    • IOS (21)
    • 디자인패턴 (20)
    • Kafka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maxConnTotal
  • connectionRequestTimeout
  • KEEPALIVE
  • Index Template
  • Index
  • 스프링 인테그레이션
  • persistence connection
  • 엘라스틱서치
  • SWIFT
  • spring integration
  • maxConnPerRoute
  • elasticsearch
  • mappings
  • persistent connection
  • springintegration
  • ES
  • java
  • 인덱스 템플릿
  • spring
  • 스프링 인티그레이션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꿀똥벌레

꿀똥벌레 개발 블로그

인프라

docker 기본 사용법

2021. 6. 20. 15:39

계속해서 수정중...

docker search

도커 허브에서 이미지 목록 검색

기본 포맷

docker search 검색어

docker pull

도커 허브에서 이미지 내려받는 명령어

기본 포맷

docker pull 내려받을이미지

docker images

  • 이미지 리스트 표시

docker run

이미지로부터 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들고, 실행하기 위해 쓰이는 명령어

기본 포맷

docker run (option) <이미지식별자> (명령어) (인자)

-d 옵션

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할때 사용하는 옵션. -d 옵션을 사용하면 detached모드로 실행된다.

docker run -d python:3.8-alpine python -m http.server
  • -d 모드로 실행하지 않는 경우 터미널에 종속되고, ctrl + c 로 빠져나오면 컨테이너도 종료된다.

-it 옵션

컨테이너를 종료하지 않은 채로 터미널의 입력을 계속해서 컨테이너로 전달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옵션

docker run -it python:3.8-alpine bash

—name 옵션

docker 컨테이너를 제어할 때, 컨테이너 ID를 사용하면 읽기나 기억하기 어려움. —name옵션을 사용하여 이름을 부여해주면, 해당 이름으로 컨테이너를 식별할 수 있다.

docker run -d --name my-server python:3.8-alpine python -m http.server

docker kill my-server

-e 옵션

docker 컨테이너에 환경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. -e를 사용하면 Dockerfile의 env 설정도 덮어씌워지게 된다.

docker run -e FOO=bar python:3.8-alpine env
  • FOO환경변수를 bar로 세팅한 후 실행하여, env로 환경변수 확인.

-p 옵션

컨테이너간에 포트 배포, 바인드를 위해 사용. 호스트 컴퓨터에서 리스닝 하고 있는 포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.

docker run -d -p 80:8080 python:3.8-alpine python -m http.server
  • 호스트에 80포트로 접속하면 컨테이너의 8080포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.

-v 옵션

컨테이너간 볼륨(vollumn) 설정을 위한 옵션. 호스트 파일시스템의 특정 경로를 컨테이너 파일시스템의 특정 경로로 마운트 해줄 수 있다.

docker run -v `pwd`:/etc python:3.8-alpine cat /etc/test.txt

-w 옵션

dockerfile의 workdir 설정을 덮어쓰기 위해 사용.

docker run -w /etc python:3.8-alpine pwd
  • 컨테이너의 작업 디렉터리를 /etc로 변경

—rm 옵션

컨테이너를 일회성으로 실행할때 사용한다. 해당 옵션과 함께 실행하면 컨테이너가 종료되면서 관련된 리소스까지 같이 제거된다.

docker run --rm -it images

docker rm

docker rm [컨테이너id]
  • 컨테이너 삭제

docker rmi

docker rmi [이미지id]
  • 이미지 삭제

-f 옵션

컨테이너를 삭제하기 전에 이미지를 삭제하는 경우 컨테이너도 같이 삭제

docker rmi -f [이미지id]

docker exec

  • 외부에서 실행중인 컨테이너 안의 명령을 실행하는 exec명령
docker exec [option] container command [args..]
  • 커맨드는 컨테이너의 디폴트 디렉토리에서 실행되어진다.

-d 옵션

detach mode 로 실행된다.

-e

환경변수 지정 옵션

-i

표준 입출력을 여는 옵션.

-t

가상 tty 를 통해 접속하겠다는 의미( 보통 -it) 로 많이 쓴다.

docker exec -it "컨테이너" /bin/bash(bash를 이용해 열겠다는 의미)

'인프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tp 클라이언트 설정 시 메모  (0) 2024.04.02
Http keep alive 란  (0) 2023.03.07
macos ventura 업데이트 후 ssh 오류  (0) 2023.02.09
DB 트랜잭션 및 락  (0) 2022.05.18
docker mysql 설치  (0) 2021.06.20
    꿀똥벌레
    꿀똥벌레
    개발자 꿀똥벌레 입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