꿀똥벌레
꿀똥벌레 개발 블로그
꿀똥벌레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0)
    • JAVA (17)
    • SPRING (14)
    • Elasticsearch (4)
    • GRADLE (2)
    • HTML, CSS (0)
    • JAVASCRIPT (0)
    • GIT (1)
    • Vue.js (1)
    • server (1)
    • Python (0)
    • IT리뷰 (0)
    • 인프라 (6)
    • IOS (21)
    • 디자인패턴 (20)
    • Kafka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persistent connection
  • maxConnPerRoute
  • ES
  • SWIFT
  • persistence connection
  • KEEPALIVE
  • spring integration
  • elasticsearch
  • Index Template
  • connectionRequestTimeout
  • Index
  • 인덱스 템플릿
  • springintegration
  • mappings
  • maxConnTotal
  • 엘라스틱서치
  • 스프링 인티그레이션
  • java
  • 스프링 인테그레이션
  • spring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꿀똥벌레

꿀똥벌레 개발 블로그

JAVA

JPA CASCADE 종류

2021. 4. 22. 23:46
  • CascadeType.RESIST – 엔티티를 생성하고, 연관 엔티티를 추가하였을 때 persist() 를 수행하면 연관 엔티티도 함께 persist()가 수행된다. 만약 연관 엔티티가 DB에 등록된 키값을 가지고 있다면 detached entity passed to persist Exception이 발생한다.
  • CascadeType.MERGE – 트랜잭션이 종료되고 detach 상태에서 연관 엔티티를 추가하거나 변경된 이후에 부모 엔티티가 merge()를 수행하게 되면 변경사항이 적용된다.(연관 엔티티의 추가 및 수정 모두 반영됨)
  • CascadeType.REMOVE – 삭제 시 연관된 엔티티도 같이 삭제됨
  • CascadeType.DETACH – 부모 엔티티가 detach()를 수행하게 되면, 연관된 엔티티도 detach() 상태가 되어 변경사항이 반영되지 않는다.
  • CascadeType.ALL – 모든 Cascade 적용

예시

@OneToOne(cascade = CascadeType.ALL, fetch = FetchType.LAZY)
@JoinColumn(name = "DELIVERY_ID")
private Delivery delivery;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PA @ManyToMany  (0) 2021.04.23
JPA @Inheritance  (0) 2021.04.23
JAVA Optional 기초  (0) 2021.03.19
자바에서 제공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  (0) 2021.03.18
자바 스트림 기초 사용법  (0) 2021.03.17
    꿀똥벌레
    꿀똥벌레
    개발자 꿀똥벌레 입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